반응형
이전 과정까지 모두 마쳤다면 (apache페이지와 tomcat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뜬다면.)
이제 mod_jk를 설치하고 연동을 시작한다.
wget https://dlcdn.apache.org/tomcat/tomcat-connectors/jk/tomcat-connectors-1.2.49-src.tar.gz
tar -zxvf tomcat-con~
cd tomcat-con~/native/
./buildconf.sh
./configure --with-apxs=/usr/bin/apxs
make
make install
ll /etc/httpd/modules/mod_jk.so
다들 탭키의 활용은 하실거라 믿는다.
tar -zxvf tomcat-con 쯔음에 tap을 눌러 자동완성을 채워주자.
/etc/httpd/modules/mod_jk.so 파일이 보인다면 일단 설치는 완료되었다.
vi /etc/httpd/conf/httpd.conf
:set nu
55 번 라인 Include conf.modules.d/*.conf 위에
LoadModule jk_module modules/mod_jk.so
<VirtualHost *:80>
ServerName localhost
JkMount /*.jsp tomcat
JkMount /*.json tomcat
JkMount /*.xml tomcat
JkMount /*.do tomcat
</VirtualHost>
모듈부에대해 apache 설정에서 선언을 해준다.
vi /etc/httpd/conf.modules.d/mod_jk.conf
<IfModule mod_jk.c>
JkWorkersFile conf/workers.properties
JkShmFile logs/mod_jk.shm
JkLogFile logs/mod_jk.log
JkLogLevel info
JkLogStampFormat "[%a %b %d %H:%M:%S %Y]"
</ifModule>
vi /etc/httpd/conf/workers.properties
worker.list=tomcat
worker.tomcat.port=8009
worker.tomcat.host=localhost
worker.tomcat.type=ajp13
worker.tomcat.lbfactor=1
전역설정까지 마쳤다면 다시 apache 설정에서 apache 폴더를
기존에 설치된 tomcat 으로 경로를 맞춰준다.
vi /etc/httpd/conf/httpd.conf
128번
133번 경로수정
/usr/share/tomcat/webapps/ROOT
이후 서비스 재시작.
service tomcat stop
service tomcat start
service httpd stop
service httpd start
systemctl restart tomcat
systemctl restart httpd
어떤 방식을 사용해도 상관없다. 편한걸하자
다 되었다면 iphost 로 포트번호 없이 접속하여 apache tomcat 이 정상적으로 연동되었는지 확인한다.
반응형
'Infra >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rtualBox에 우분투 설치하기 (0) | 2024.05.28 |
---|---|
VM VirtualBox 설치 (0) | 2024.05.28 |
Linux - 신규 서버에 Apache Tomcat 연동하기 -2 (0) | 2023.12.01 |
Linux - 신규 서버에 Apache Tomcat 연동하기 -1 (0) | 2023.12.01 |
Linux - Bash 스크립트로 사용량을 조회하자 (0) | 2023.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