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ra/Server

Linux - 신규 서버에 Apache Tomcat 연동하기 -2

쵸비냥냥 2023. 12. 1. 15:57
반응형

 

이제 CUBRID 설치하여 사용자 등록만 해준다면 기본적인 설치는 다 된거같다.

 

useradd cubrid

passwd cubrid

 

설치 전 cubrid 사용자를 만들어준다.

 

su - cubrid

wget http://ftp.cubrid.org/CUBRID_Engine/10.1_latest/CUBRID-10.1-latest-Linux.x86_64.sh

sh CUBRID-10.1-latest-Linux.x86_64.sh

cubrid services start

 

생각보다 설치과정이 너무 간단했다 

 

이게 맞을까? 싶었지만 아니라면 다시해주지 마인드로 작업을 이어갔다.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8001/tcp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30000/tcp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33000/tcp

firewall-cmd --reload

 

cubrid는 8001, 30000, 33000번 포트를 사용한다

 

이제 Apache Tomcat 연동 작업만 남았다.

 

많이 했다고 생각했는데 앞으로 할게 더남아있다는 생각에 잠깐 쉬고 해야지.. 하며 

 

이후 작업은 사무실에서 ssh로 연결하여 원격으로 작업 진행 하였다.

 

yum -y install autoconf libtool httpd-devel

yum -y install java-1.8.0-openjdk

yum -y install java-1.8.0-openjdk-devel

yum -y install tomcat*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8080/tcp

firewall-cmd --reload

systemctl restart tomcat

 

JDK 1.8 버전과 톰캣을 먼저 설치 후 방화벽에 8080을 등록하여

 

톰캣화면이 먼저 출력이 되는지 테스트를 해본다.

 

iphost:8080 test.

 

정상적으로 고양이가 뜨는게 보인다면 다음과정을 진행하자.

 

yum -y install httpd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http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https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80/tcp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443/tcp

firewall-cmd --reload

 

사실 저렇게 포트와 서비스를 각각 안넣어줘도 서비스만으로도 기본포트를 따라가기에

 

불필요한작업이다. 하지만 확실해서 나쁠건없다.

 

firewall-cmd --list-all

 

방화벽에 등록된 리스트를 확인 후 

 

iphost 로 테스트를 진행. apache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출력 되는지 확인한다.

 

반응형